트렌드코리아2023 도서, 저자소개 그리고 읽고 느낀점
2023년이 시작 되었다. 시작하자마자 벌써 1개월이 후딱 지나갔습니다.2023년의 한국에선 어떤 일이 , 어떤 트렌드가 생겨나고, 없어질지 트렌드코리아2023의 책을 읽고 느낀점을 작성합니다.2023년도엔 트렌드를 잘 읽어서 좋은 결과를 내야 겠습니다.
트렌드코리아2023 의 줄거리
트렌드 코리아 2022 에서는 2년여 동안 계속되는 팬데믹19 상황에서도 "우리를 죽이지 못하는 것들은 우리를 더 강하게 만든다."며 희망을 품고 "코로나와 함께"를 준비할 것을 말했다. 그리고 1년이 지난 지금 코로나19는 여전히 우리 곁을 떠나지 않았고, 우리의 경제적 삶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
지난 30년간 우리가 경험해왔던 세계화는 끝났다."는 블랙록 래리 핑크 회장의 말처럼, 이제 수십 년간 이어져 온 평화와 공존의 시대는 종말을 고한 것 같다. 부동산,아파트, 주식 등의 붕괴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를 생각나게 하며, 세상은 점점 혼탁해지고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가만히 있을 수만은 없다. 김난도 교수는 격동하는 변혁의 시대에 '바꾸다'의 상대어는 '유지하다'가 아니라고 한다. 우리 눈앞에 놓여진 선택지는 “바꾸거나 죽거나” 둘 중 하나라는 것이다. 자기 혁신을 통해 위기의 순간을 도약을 위한 준비의 순간으로 바꾸고 싶다면, 올해도 <트렌드 코리아>를 읽어야 할 이유가 충분히 있다.
세계화의 종말, 갈등과 분열, 그리고 전쟁. 수십 년간 이어져 온 평화와 공존의 시대는 막을 내리고 엄청난 위기감 속에서 사람들은 다가올 미래를 두려워한다. 자산시장 및 증시의 버블붕괴는 마치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의 데자뷔를 보는 듯하다. 제2의 외환위기 경고도 들려온다. 매우 부정적인 전망이 압도하는 2023년을 목전에 두고 있는 지금, 소비 트렌드 전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이 반복되고 무엇이 달라질 것인가를 구별하는 작업일 것이다.
‘불황기의 소비 패턴’을 과거와 비교해보는 것이고, 또 하나는 ‘소비의 전형성’이 사라지는 시대의 흐름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른바 ‘평균 실종’이 가장 첫 번째 키워드인 이유다. 변화의 속도가 더욱 빨라지는 2023 대한민국. 소비자들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점점 예측하기 어려워진 세상 속에서 격동하는 변혁의 시대에 '바꾸다'의 상대어는 '유지하다'가 아니라고 합니다. 우리 눈앞에 놓여진 선택지는 "바꾸거나 죽거나" 둘 중 하나라는 것이라고한다.
트렌드코리아2023 의 저자소개
트렌드코리아2023의 저자는 김난도, 전미영,최지혜,이수진,권정윤, 이준영, 이향은, 한다혜,이혜원,주예린 의 공저로 각자의 저자를 소개 합니다.이책의저자중 한명인 김난도는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교수로 서울대 생활과학연구소 트렌드분석센터장으로 일하고 있다.
전미영은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으로 서울대 소비학, 학사, 석사, 박사로 보시자행복과 보시자심리 분야에 관심이 많고 서울대에서 소비자조사법과 신상품개발 방법론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현재 롯데쇼핑ESG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지혜는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으로 서울대 보시자학 석사,박사, 소비자의 신제품 수용, 세대별 아링크스타일 분석 등의 주제를 연구하며, 서울대에서 소비자심리와 트렌드분석과목을 강의 하고 있다. 이수진 은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부넉센터 연구위원으로 세대별소비특성, 가족 내 소비의전이 물질소비와 경험소비 등의 주제로 서울대학교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준영은 상명대학교 경제금융학부 교수로 서울대에서 소비자학 학사,석사, 박사를 취득하였다. 현재 상명대학교 소비자분석연구소소장과 한국소비문화학회 편집위원을 맡고있다. 이향은 은LG전자 생활가전, 공조, 사업본부 상무로 서울대 디자인학 박사로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 심사위원으로 선정되었다.
한다혜, 이혜원, 추예린 은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원으로 서울대 소비자학 학사,석사,박사과정을 수료 또는 과정에 있으며 다수의 기업과 소비트렌드분석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트렌드코리아2023 을 읽고 느낀점
이번 전망대회에는 연인원 1000명 이상의업계 관계자들이 직접 참석했다.유튜브로도 실시간 중계된 이번 전망대회는 ‘대전환의 시대, 식품ㆍ외식산업의 도전과 미래’라는 슬로건 아래 트렌드 전망, 등 미래전략 수립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담은 14개 강연이 이틀간 펼쳐졌다.
트릿지 박현아 상무는 세계 농식품 판매자와 바이어를 연결하는 플랫폼을 사례로 식품원료 수급 위기 극복방안을 제시하고, 리하베스트 민명준 대표는 식품 부산물을 대체식품으로 탈바꿈시켜 부가가치를 높이는 푸드 업사이클 성장전략을 소개했다.
CJ제일제당 윤효정 상무와 잇저스트(Eat Just)의 조단 테트릭(Jordan Tetrick) CEO는 식품 신소재를 주제로 나눈 대담에서 식물성 대체계란 등 국내에 낯선 식품소재를 소개하고, 대체식품의 향후 개선과제를 맛, 영양, 첨가물 등 다각도에서 분석했다.
디자인알레 우현미 대표와 CIC F&B 김왕일 대표는 차별화된 오프라인 매장과 신개념 고객 서비스를 통한 외식업 성공전략을 발표하고 LG전자, GS리테일, 대상, 풀무원 등 국내 대표 식품ㆍ외식기업들이 푸드테크와 ESG 사업전략을 공유했다.
한국산업경영연구원 윤은옥 부장은 내년에 주목해야 할 외식 트렌드로 △양극화 △경험이 곧 소유 △건강도 힙하게 △휴먼테크를 제시했다.
윤 부장은 “불황 속 ‘양극화’에 주목, ‘소득’이 아닌 개인의 ‘취향과 가치’에 따라 편의점 도시락으로 대표되는 짠테크와 호텔 빙수 같은 플렉스 소비를 동시에 하는 외식 소비문화가 확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인증샷, 리뷰 등 경험이 곧 소유가 되는 시대로, 외식업체는 차별화된 경험을 담고, 고객의 리뷰를 수집, 분석해 니즈를 읽어야 한다”고 말했다.건강도 힙하게 챙기는 소비자 니즈에 따라, 맛있는 채식, 외식형 간편식, FREEㆍZERO를 앞세워 건강식이 더욱 주목 받을 것으로 내다봤으며, 결국 부족한 종사자의 대체와 업무강도 완화, 고객에게는 편의 제공 즉, 사람을 위한 테크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끝-